채팅상담 채팅상담
맨 위로

대메뉴 바로가기

본문바로가기

FOOTER 바로가기

다이렉트 보험료 계산 열기

적용이율

투명하고 성실한 윤리경영으로 손해보험 전문그룹으로 도약하겠습니다.

공시기준이율 및 적용이율(YYYYMM월 기준)

공시기준이율 및 적용이율(2018년 10월 기준)
이율구분 공시기준이율 조정율 적용이율

연금저축공시이율1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연금저축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운용자산이익률은 총자산 규모 상위 4개사 손해보험회사의 산출시점의 가장 최근 운용자산이익률을 산술평균하여 적용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 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외부지표 가중치(α)는 40%를 적용한다.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국공채가중치(β1), 회사채가중치(β2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는 각각 25%를 적용한다.

[상한 : 공시기준이율 X 110%]

[하한 : 공시기준이율 X 90%]

연금저축공시이율2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연금저축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운용자산이익률은 총자산 규모 상위 4개사 손해보험회사의 산출시점의 가장 최근 운용자산이익률을 산술평균하여 적용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 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외부지표 가중치(α)는 40%를 적용한다.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국공채가중치(β1), 회사채가중치(β2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는 각각 25%를 적용한다.

[상한 : 공시기준이율 X 120%]

[하한 : 공시기준이율 X 80%]

연금저축공시이율3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연금저축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운용자산이익률은 총자산 규모 상위 4개사 손해보험회사의 산출시점의 가장 최근 운용자산이익률을 산술평균하여 적용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 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외부지표 가중치(α)는 40%를 적용한다.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국공채가중치(β1), 회사채가중치(β2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는 각각 25%를 적용한다.

[상한 : 공시기준이율 X 130%]

[하한 : 공시기준이율 X 70%]

연금저축공시이율4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연금저축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운용자산이익률은 총자산 규모 상위 4개사 손해보험회사의 산출시점의 가장 최근 운용자산이익률을 산술평균하여 적용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 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외부지표 가중치(α)는 40%를 적용한다.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
  • 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최초 판매개시 시점부터 사업년도 기준으로 3차년이 경과되기 전인 경우, 또는 연금저축 특별계정에서 운영되는 총 자산이 1,000억 미만인 경우, 국공채가중치(β1), 회사채가중치(β2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는 각각 25%를 적용한다.

보장성공시이율1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장기무배당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 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

[상한 : 공시기준이율 X 120%]

[하한 : 공시기준이율 X 80%]

보장성공시이율2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장기무배당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 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

[상한 : 공시기준이율 X 130%]

[하한 : 공시기준이율 X 70%]

보장성공시이율3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장기무배당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 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

저축성공시이율1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장기무배당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 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

[상한 : 공시기준이율 X 120%]

[하한 : 공시기준이율 X 80%]

저축성공시이율2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장기무배당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 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

[상한 : 공시기준이율 X 130%]

[하한 : 공시기준이율 X 70%]

저축성공시이율3

[공시기준이율 : 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X α + 윤용자산이익률 X (1 - α)]

운용자산이익률 : 장기무배당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
  • 단,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
객관적인 외부지표금리 : 국고채(5년)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(β1) + 회사채(무보증 3년, AA-)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(β2) + 통화안정증권(1년) 수익률 X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+ 양도성예금증서(91일) 유통수익률 X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
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(α) : (A/B+C) / (A+C)
  • 단,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, B :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, C : 직전년도 수입보험료
국공채가중치(β1) = a / (a+b+c+d), 회사채가중치(β2) = b / (a+b+c+d), 통화안정증권 가중치(β3) = c / (a+b+c+d), 양도성 예금증서 가중치(β4) = d / (a+b+c+d)
  • 단, a, b, c,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공채(a), 회사채(b), 통안증권(c), 양도성예금증서(d)의 직전년도 평균잔고(월평잔의 평균)를 적용